[건물명도등] 아파트 관리소장의 법적지위에 관하여 > 주요판례

주요판례

HOME > 소식/자료 > 주요판례

[건물명도등] 아파트 관리소장의 법적지위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법률사무소 민 작성일15-03-30 09:47 조회1,304회 댓글0건

본문



 [대법원, 201462657, 2015.1.29]

판시사항

구 주택법에 따라 자치관리로 공동주택의 관리방법을 정한 아파트에서 자치관리기구 및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의 법적 지위(=입주자대표회의의 업무집행기관) 및 자치관리기구의 대표자 내지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이 구 주택법령 등에서 정한 공동주택 관리업무를 집행하면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에 기한 권리·의무의 귀속주체와 계약의 당사자(=입주자대표회의)

판결요지

구 주택법(2009. 12. 29. 법률 제98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2조 제14(), 43조 제4, 55조 제1, 2, 구 주택법 시행령(2010. 3. 15. 대통령령 제2207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51조 제1항 제4, 53조 제1

[별표 4], 2, 3, 4, 55조 제1, 72, 구 주택법 시행규칙(2010. 7. 6. 국토해양부령 제2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25, 32조의 체계 및 내용과 더불어, 자치관리기구의 대표자인 관리사무소장을 비롯한 직원들은 입주자대표회의와 관계에서 피용자의 지위에 있음을 감안할 때 자치관리기구가 일정한 인적 조직과 물적 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것만으로 단체로서의 실체를 갖춘 비법인사단으로 볼 수 없는 점, 구 주택법령과 그에 따른 관리규약에서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으로 하여금 그 명의로 공동주택의 관리업무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등 일정 부분 관리업무의 독자성을 부여한 것은, 주택관리사 또는 주택관리사보의 자격을 가진 전문가인 관리사무소장에 의한 업무집행을 통하여 입주자대표회의 내부의 난맥상을 극복하고 공동주택의 적정한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취지일 뿐, 그러한 사정만으로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이라는 지위 자체에 사법상의 권리능력을 인정하기는 어려운 점 등을 종합하면, 구 주택법에 따라 자치관리로 공동주택의 관리방법을 정한 아파트에서 자치관리기구 및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은 비법인사단인 입주자대표회의의 업무집행기관에 해당할 뿐 권리·의무의 귀속주체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자치관리기구의 대표자 내지 관리주체인 관리사무소장이 구 주택법령과 그에 따른 관리규약에서 정한 공동주택의 관리업무를 집행하면서 체결한 계약에 기한 권리·의무는 비법인사단인 입주자대표회의에게 귀속되고, 그러한 계약의 당사자는 비법인사단인 입주자대표회의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백로 204, 602호(장항동, 보림빌딩) / 상호: 법률사무소 민 / 대표자: 김민휘변호사
사업자등록번호 : 128-40-32640 (김민휘 변호사)
Tel : 031-816-1471 (김민휘 변호사) / Fax : 031-816-1473
E-mail: kmh111125@naver.com (김민휘 변호사)

Copyright ⓒ www.hu3380.s19.hdweb.co.kr.kr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로그인 메이크24 바로가기